[윤경ESG포럼]임팩트 투자 동향
페이지 정보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1-11-02본문
한상엽 소풍벤처스 대표
『임팩트 투자 동향』
*본 게시글은 2021년 9월 윤경ESG포럼 정기모임의 『임팩트 투자 동향』에 대한
한상엽 소풍벤처스 대표님 강연 내용을 요약하였습니다.
1. 책임투자와 임팩트 투자
■ UN PRI와 책임투자
이해관계자 자본주의 선언을 비롯한 ESG 확산 속에 임팩트 투자 분 야에서도 ESG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상황이 되었습니다. 금융기관들을 대상으로 한 국제적 메시지이자 이니셔티브인 UN PRI의 핵심 메시지도 ‘ESG 이슈를 고려하여 책임투자를 하라’는 것 입니다
■ 임팩트 투자
책임투자의 전략 중 임팩트/지역사회 투자를 제외한 나머지 투자들의 정의들은 ESG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반면 임팩트 투자는 특정한 문제를 ‘해결’ 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임팩트라는 단어는 물리학 용어로 두 물질의 충돌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투자에서 임팩트를 이야기할 때 일반적으 로 앞에 ‘소셜’ 또는 ‘긍정적’이라는 단어가 생략되어 있습니다. 이에 임팩트가 있다고 말하는 경우는 긍정적 임팩트 로 부정적인 임팩트가 압도되거나 상쇄되는 경우입니다. 물리학에서 온 단어인 만큼 임팩트를 이야기할 때 스칼라 값 과 벡터 값을 논의하게 됩니다. 투자적 관점에서 주로 크기를 설명하는 스칼라 값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그러나 임팩 트 투자는 여기서 어느 방향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벡터 값을 ‘더하여’ 이야기하자는 관점입니다.
■ 사회문제 정의
임팩트 투자의 핵심적인 사회적 가치와 사회문제의 간략한 정의는 아래와 같습니다.
이 중 사회적 문제는 국가와 시대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세계적으로는 UN의 SDGs 를 적용하여 사회적 가치를 판별 중이지만 국가적 차이에 따라 한국에서도 K-SDGs를 제작하고 있습니다. 사회문제 해결은 수단, 혁신, 대상을 기준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어떤 수단을 통하여, 어떤 혁신을 만들어, 어떤 대 상에게 이득을 줄 것인지 설명할 수 있어야 사회문제 해결이라고 보는 것입니다.
2. 금융과 임팩트 투자
■ 리턴, 리스크 그리고 임팩트
금융의 본질은 효율적 자원 배분을 통해 재무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의 최적화를 이룩하는 것입니다. 기존 고려 사항 인 리턴과 리스크에 임팩트라는 새로운 축을 추가하여 진행하는 것이 임팩트 투자라고 볼 수 있습니다. 큰 관점에서 살펴보면 임팩트 투자 외에도 크라우드 펀딩, 소셜 뱅크, 지역개발금융 등 다양한 방식이 존재하며 이를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합니다. 또한 임팩트 투자의 범위가 광범위 하여 기대수익률이 없이 사회적 의미만을 고려하는 벤처자선 및 기부도 임팩트 투자에 포함하기도 합니다.
■ 임팩트 투자 확산 및 흐름 변화: ‘대규모 펀드’의 형성
전세계적으로 임팩트 펀드가 확산되는 중이며 글로벌 임팩트 투자 총 운용자산은 2013년 55조 원에서 2020년 790조 원으로 성장하였습니다. 반면 국내에서는 2019년 2,000억 원, 2020년 1,600억으로 감소하는 것처럼 보이 지만,이는 ESG 및 그린뉴딜 분야 투자에 증가에 따라 임팩트 투자를 주제로 한 자금이 감소되어 나타나는 현상입니 다. 소풍벤처스에서 2009년부터 2018년 국내 주요 포탈의 임팩트 투자의 키워드를 분석한 결과, 주목할 점은 상단 의 키워드들이 사회적 기업에서 투자 및 소셜 벤처로 변화한 것입니다. 이는 대규모 펀드 구성의 영향으로 보입니다.
■ 임팩트 투자의 기준
임팩트 투자의 기준으로 네거티브 스크리닝을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금융기관들은 포지티브 스크리닝을 복합적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임팩트 투자는 투자를 회수한 후에도 기업이 사회적 가치에 투자하도록 해야 한다고 국제금융공사에서는 제시하고 있으며, 임팩트 투자의 단계별 기준과 방법론 등에 대해서는 계속적인 고찰이 이루어 지는 중으로, 이러한 시장 변화에 많은 기업에서 꾸준히 관심가져 주시길 바랍니다.